중국 문화기행

[중국문화기행] 2001 백마사와 소림사

강정순 2006. 4. 14. 12:43

 

洛陽Luoyang은 너무 잘 알려진 도시다.

낙양만큼 우리에게 잘 알려진 도시도 없다.

낙양성 십리 허에하는 노래가 이곳이다.

북망산천이라 하는 邙山 망산도 이곳에 있다.

우리는 東北 招待所에다 짐을 맡겼다.

여기서 숭산은 낙양의 동북방.

가는 길에白馬寺를 거친다.

서안이 정치의 중심지라면 낙양은 예술의 도시다.

戰國시대의 老子,

당나라 때의 李白 杜甫 白居易등의 시인들이

낙양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낙양은 지난 날

·後漢·北魏···後唐·後晋9에 걸친 고도다.

가히 중국역사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낙양에서 崇山숭산을 가기 전 왼쪽 벌판에

白馬寺Baima Si가 있다.

백마사는 중국의 불교사원1호다.

後漢明帝가 어느 날 꿈에 金人을 보았다.

군신에게 묻자

'서방에 신이 있는 데 아마 그 부처를 본 모양이라'

일러주는 자가 있었다.

그래서 明帝는 인도[天竺]使者를 보내

불법을 구해오도록 하였다.

그들이 백마에 불경과 불상을 싣고 돌아왔으므로

이를 기려 절을 짓고 백마상을 세웠다.

문 앞에 석상이 있는 데

이것은 후세에 만들어진 것이다.

사람들은 여기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그 앞에 즐비하게 들어선 기념품상에서는

이곳까지 나와

기념이 될 것 같지 않은 물건들을

선보이고 든다.

 

 

 

 

 

중국에서는 泰山東岳, 華山西岳이라 하며

崇山中岳이라 부른다.

少林寺Shaolin Si崇山에 있다.

백마사를 지난 버스는

산허리를 여러 차례 돌아 오른다.

헐벗은 산에 일궈낸 조림수.

와서 보면 소림사는 작은 절이다.

네모반듯한 곳에 붉은 건물들이 몇 채.

무술권법의 총본산이며

1,500년 전 인도승 菩提達磨보리달마가

禪宗을 연 곳이 이곳이다.

여기는 곳곳이 무술학교다.

우리는 崇山Song Shan자락에서

단련을 마치고 내려오는 수련생에게

즉석 묘기를 청하였다.

을 가지고 보여준 권법은 영화적 모습 그대로였다.

고개위로 시멘트석상이 있다.

차림으로 짐작이 가지 않은 이가

향을 사르란다.

돌계단을 따라 3백여 미터 내려오면

여기가 面壁洞이다.

그러니까 면벽동은 산의 중턱에 자리한다.

굴 안은 장사꾼의 차지가 되었다.

가사를 입힌 불상이 없었다면

여느 동굴과 다름없었다.

 

 

 

면벽동

 

 

승려가 한 손으로 를 표하는 것은

彗可의 합장에서 본 뜬 것이라고 한다.

그는 처음 인도에서 온 달마의 공력을 알지 못하고

홀대한다.

달마가 면벽 좌선이 9년째 접어들 때,

설한 속에 혜가가 찾아와 비로소 가르침을 청한다.

달마는 말이 없다.

혜가는 날이 선 칼로 자신의 한 쪽 팔을 자른다.

붉은 피가 흰 눈 위에 낭자했다.

그는 마음 속 괴로움을 하소연한다.

"그 괴로운 마음을 가져오너라.

그러면 편안케 해 주리라"

그 말에 번쩍 깨달음을 얻는다.

그리고 달마에 이어 2대 소림사 方丈이 된다.

달마는 그의 가르침을 질시하는 무리들에 의해

독살을 당했으나,

한쪽 신발만 남기고 印度로 돌아갔다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전해진다

 

 

 

NOTE:

 

소림사 경내에 있는 "입설당"이라는 작은 전각이 달마에게 가르침을 청하자
달마가 "하늘에서 붉은색 눈이 내리면 제자로 받아들이고 가르침을 주겠다고 하자던
혜가가 자기 팔을 잘라 철단부에서 뿜어나온 피가 눈과 같이 내려 붉은색 눈이 되었고
결국 달마가 혜가를 제자로 받아 들였다고 하지요.
그 리고 한쪽 팔이 없는 혜가가 합장을 하지 못하고 한쪽 팔로 반장을 하며 인사를 한것이
이후 소림사 승려들이 반장으로 인사를 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지요. 

 

 

 

맞습니다, 큰 맥락에서는

2017년 12월 이 곳을 다시 들린 기록을 [숭산의 소림사 면벽동]이란 제목으로 올려 놓았습니다